바스크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스크 축구 국가대표팀은 바스크 지역을 대표하는 축구팀으로, 1913년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 창설 이후 여러 차례 경기를 가졌다. 스페인 내전 시기에는 해외 투어를 통해 국제적인 관심을 모았으며, 프랑코 정권 시기에는 활동이 제한되었다. 민주화 이후에는 다양한 국가와 친선 경기를 치렀으며, FIFA 및 UEFA 가입을 추진하고 있다. 바스크 아마추어 팀은 UEFA 리전스컵에 참가하여 2005년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FIFA에 가입하지 않은 축구 국가대표팀 - 마사이 축구 국가대표팀
- FIFA에 가입하지 않은 축구 국가대표팀 - 카탈루냐 축구 국가대표팀
카탈루냐 축구 국가대표팀은 1904년에 창설되어 비공식 친선 경기를 진행하며, 빅토르 발데스, 카를레스 푸욜, 사비 에르난데스 등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다.
바스크 축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에우스칼 셀렉시오아 |
로마자 표기 | Euskal Selekzioa |
별칭 | 에우스칼 셀렉시오아 (2009-) 에우스칼 에리아 (2007) 에우스카디 (1937-2006, 2008) |
협회 정보 | |
협회 | 에우스카디코 푸트볼 페데라쿤데아 |
코칭 스태프 | |
감독 | 하고바 아라사테 |
선수 정보 | |
최다 출장 선수 (1930년대) | 이시드로 랑가라 (44) |
최다 출장 선수 (현대) | 샤비 프리에토 (14) |
최다 득점 선수 (1930년대) | 이시드로 랑가라 (17) |
최다 득점 선수 (현대) | 아리츠 아두리스 (13) |
경기 정보 | |
첫 경기 (북부 연맹으로) | |
첫 경기 (바스크로) | |
최대 점수차 승리 | |
최대 점수차 패배 | 가스테이스]]; 1980년 8월 31일) |
2. 역사
바스크 축구 국가대표팀은 1913년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 창설 이후 '노르테'라는 이름으로 첫 경기를 시작했다. 1915년 카탈루냐와의 경기에서 6-1로 승리하고, 코파 델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에서 우승하는 등 초창기 성공적인 모습을 보였다.[7][8][11] 이후 여러 지역 연맹으로 분리되었다가 1930년 통합하여 '바스코니아'라는 이름으로 다시 활동했다.[15][16][17][25]
스페인 내전 시기(1936-1939)에는 호세 안토니오 아기레 초대 대통령이 조직한 Euzkadiko selekzioaeu라는 팀이 전쟁 자금 모금과 바스크 문제 홍보를 위해 유럽과 남미를 순회하며 경기를 가졌다.[119] 프란시스코 프랑코 독재 시대(1939-1975)에는 활동이 극도로 제한되었으나, 민주화 이후 1978년 활동을 재개하여 현재까지 다양한 국가 대표팀과 친선 경기를 치르고 있다.[66]
2007년 팀 명칭을 '에우스칼 헤리아(Euskal Herriko Futbol Selekzioa)'로 변경했다가 정치적 논란으로 인해 2009년 다시 '에우스칼 셀렉시오아(Euskal Selekzioa)'로 변경했다.[60][63][61][62]
1979년 부활 이후 현재까지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날짜 | 개최지 | 홈 | 스코어 | 어웨이 | 관람객 수 |
---|---|---|---|---|---|
1979년 8월 16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4-1 | 리그 오브 아일랜드 선발 | |
1979년 12월 23일 | 산 세바스티안, 아토차 | 바스크 선발 | 4-0 | 불가리아 대표팀 | |
1980년 8월 3일 | 비토리아-가스테이스, 멘디소로사 | 바스크 선발 | 1-5 | 헝가리 대표팀 | |
1988년 5월 10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4-0 | 토트넘 홋스퍼 FC | |
1990년 3월 21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2-2 | 루마니아 대표팀 | |
1993년 6월 22일 | 산 세바스티안, 아노에타 | 레알 소시에다드 | 0-0 | 바스크 선발 | |
1993년 12월 22일 | 산 세바스티안 | 바스크 선발 | 3-1 | 볼리비아 대표팀 | |
1994년 12월 23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1-0 | 러시아 대표팀 | |
1995년 12월 22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1-1 | 파라과이 대표팀 | |
1996년 12월 26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3-1 | 에스토니아 대표팀 | |
1997년 12월 26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3-1 |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 |
1998년 12월 22일 | 산 세바스티안, 아노에타 | 바스크 선발 | 5-1 | 우루과이 대표팀 | |
1999년 12월 29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5-1 | 나이지리아 대표팀 | |
2000년 12월 29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3-2 | 루마니아 대표팀 | |
2001년 12월 29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3-2 | 가나 대표팀 | |
2002년 12월 28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1-1 | 북마케도니아 대표팀 | |
2003년 12월 27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2-1 | 우루과이 대표팀 | |
2004년 12월 29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2-0 | 온두라스 대표팀 | |
2005년 12월 28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0-1 | 카메룬 대표팀 | |
2006년 5월 21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0-1 | 웨일스 대표팀 | |
2006년 10월 8일 | 바르셀로나, 캄프 누 | 바스크 선발 | 2-2 | 카탈루냐 선발 | |
2006년 12월 27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4-0 | 세르비아 대표팀 | |
2007년 6월 20일 | 산 크리스토발, P・푸에블로 누에보 | 베네수엘라 대표팀 | 3-4 | 바스크 선발 | |
2007년 12월 29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1-1 | 카탈루냐 선발 | |
2008년 12월 23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중지 | 이란 대표팀 | |
2010년 12월 29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3-1 | 베네수엘라 대표팀 | |
2011년 5월 25일 | 탈린, A. 레 코크 아레나 | 에스토니아 대표팀 | 1-2 | 바스크 선발 | |
2011년 12월 28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0-2 | 튀니지 대표팀 | 35,000 |
2012년 12월 29일 | 산 세바스티안, 아노에타 | 바스크 선발 | 6-1 | 볼리비아 대표팀 | 26,000 |
2. 1. 초기 역사 (1913-1930)
1913년 9월 29일, 스페인 왕립 축구 연맹이 공식적으로 창설되면서 바스크 지방은 칸타브리아와 함께 '노르테' (북부) 지역 연맹에 속하게 되었다.[6] '노르테' 연맹의 대부분의 팀이 아틀레틱 빌바오, 레알 소시에다드 등 바스크 팀이었기 때문에, 연맹에서 구성한 팀은 종종 바스크 선수들로만 구성되었으며, '바스코니아', '엘 에퀴포 바스코' 혹은 '노르테'라고 불렸다.1915년 1월 3일, 바스크 팀은 빌바오에서 카탈루냐를 상대로 첫 경기를 치러 6-1로 승리했다.[7][8] 1915년 5월에는 코파 델 프린시페 데 아스투리아스 토너먼트에서 우승을 차지했다.[11]
1916년 11월 22일, 칸타브리아 팀들은 노르테 연맹을 떠나 새로운 칸타브리아 연맹에 합류했다. 1918년에는 기푸스코아 주가, 1922년에는 비스카이아 주가 각각 자체 연맹과 팀을 결성하면서 바스크 지역은 여러 개의 지역 대표팀으로 분리되었다.[15][16][17]
1922년 여름, '바스크 팀'(Equipo Vasco)은 남아메리카로 건너가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브라질 등의 국가대표팀 및 여러 지역 팀들과 경기를 가졌다.[18][19]
1930년, 비스카야와 기푸스코아 연맹이 통합하여 '바스코니아'(Baskoniako selekzioa)라는 이름으로 바스크 지역을 대표하는 최초의 상설 팀을 창설했다. 이 팀은 1930년 6월 8일 몬주익에서 카탈루냐를 상대로 첫 경기를 치러 0-1로 승리했다.[25]
2. 2. 스페인 내전 시기 (1936-1939)
Euzkadiko selekzioaeu로 불린 바스크 팀은 1937년 스페인 내전 중, 바스크 자치 정부 초대 대통령 호세 안토니오 아기레에 의해 조직되었다. 아틀레틱 빌바오 선수였던 아기레는 전쟁 자금을 모으고 바스크 문제를 국제적으로 알리기 위해 팀을 해외로 파견했다.바스크 팀은 프랑스를 시작으로 체코슬로바키아, 소련, 노르웨이, 덴마크 등 유럽 각지를 돌며 친선 경기를 가졌다. 특히, 파리의 파르크 데 프랭스에서 열린 경기에서 프랑스 챔피언 라싱 파리를 3-0으로 이기기도 했다.[119] 1937년 6월 빌바오가 프랑코 군에 점령당한 후, 팀은 대서양을 건너 멕시코와 쿠바에서도 경기를 가졌다.
1938-39 시즌에는 '클루브 데포르티보 에우스카디(Club Deportivo Euzkadi)'라는 이름으로 멕시코 아마추어 축구 리그에 참가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119] 스페인 내전이 끝나자 팀은 해체되었고, 선수들은 각자 10,000 페세타의 보상금을 받았다.[119]
당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 | 선수 | 소속 클럽 |
---|---|---|
GK | 그레고리 블라스코 | 아틀레틱 빌바오 |
라파엘 에구스키사 | 아레나스 클루브 데 게초 | |
DF | 세라핀 아에도 | 레알 베티스 |
페테르 아레소 | FC 바르셀로나 | |
파브리토 보츠 | 불명 | |
MF | 레오나르도 시라우렌 | 아틀레틱 빌바오 |
호세 무겔사 | 아틀레틱 빌바오 | |
페드로 레게이로 | 레알 마드리드 | |
로베르토 에체바리아 | 아틀레틱 빌바오 | |
앙헬 수비에타 | 아틀레틱 빌바오 | |
사비노 아기레 | 님 올랭피크(프랑스령 바스크) | |
엔리케 라리나가 | 라싱 산탄데르 | |
FW | 호세 이라라골리 | 아틀레틱 빌바오 |
에밀리오 알론소 | 레알 마드리드 | |
이시드로 란가라 | 레알 오비에도 | |
루이스 레게이로 | 레알 마드리드 | |
칠리 2세 | 소속 클럽 없음 | |
호세 마누엘 우르키올라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
기에르모 고로스티사 | 아틀레틱 빌바오 | |
감독 | 페테르 바랴나 | |
마사지사 | 페리코 빌리치나가 | |
대표 | 리카르도 일레사발 |
2. 3. 프랑코 정권 시기 (1939-1975)
프란시스코 프랑코 독재 시대(1939-1975) 동안, 바스크 대표팀의 활동은 극도로 제한되었다. 이 시기에는 단 두 번의 경기만 치렀다고 알려져 있다.- 1966년, 레알 우니온 창단 50주년 기념 경기에서 레알 마드리드와 경기를 가졌으나 0-2로 패배하였다.
- 1971년, 후안 가르데아사발 추모 경기에서는 카탈루냐와 경기를 치렀지만 1-2로 패배하였다.
2. 4. 민주화 이후 (1978-현재)
1978년 소련과의 경기를 통해 바스크 대표팀 활동이 재개되었다. 1979년에는 아일랜드 리그 선발팀을 상대로 4-1 승리를 거두며 성공적인 복귀를 알렸다.[66] 이후 불가리아, 헝가리, 카메룬, 웨일스, 세르비아 등 다양한 국가 대표팀과 친선 경기를 가졌다.2007년, 팀 명칭을 '에우스칼 헤리아(Euskal Herriko Futbol Selekzioa)'로 변경하였으나,[60] 정치적 논란이 발생했다. 바스크 민족주의당(PNV)의 후안 호세 이바르체 렌다카리를 비롯하여,[63] 국민당(PP), PSOE 등 주요 스페인 정당들이 이 명칭 변경에 반대했다.[61][62] 결국 2009년, 팀 명칭은 다시 '에우스칼 셀렉시오아(Euskal Selekzioa)'로 변경되었다.
2011년 이후 에스토니아, 튀니지, 볼리비아, 페루, 카탈루냐, 베네수엘라, 파나마, 코스타리카, 우루과이 등과 경기를 가졌다.
1979년에 부활한 이후의 경기 일람은 다음과 같다.
날짜 | 개최지 | 홈 | 스코어 | 어웨이 | 관람객 수 |
---|---|---|---|---|---|
1979년 8월 16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4-1 | 리그 오브 아일랜드 선발 | |
1979년 12월 23일 | 산 세바스티안, 아토차 | 바스크 선발 | 4-0 | 불가리아 대표팀 | |
1980년 8월 3일 | 비토리아-가스테이스, 멘디소로사 | 바스크 선발 | 1-5 | 헝가리 대표팀 | |
1988년 5월 10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4-0 | 토트넘 홋스퍼 FC | |
1990년 3월 21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2-2 | 루마니아 대표팀 | |
1993년 6월 22일 | 산 세바스티안, 아노에타 | 레알 소시에다드 | 0-0 | 바스크 선발 | |
1993년 12월 22일 | 산 세바스티안 | 바스크 선발 | 3-1 | 볼리비아 대표팀 | |
1994년 12월 23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1-0 | 러시아 대표팀 | |
1995년 12월 22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1-1 | 파라과이 대표팀 | |
1996년 12월 26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3-1 | 에스토니아 대표팀 | |
1997년 12월 26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3-1 |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 |
1998년 12월 22일 | 산 세바스티안, 아노에타 | 바스크 선발 | 5-1 | 우루과이 대표팀 | |
1999년 12월 29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5-1 | 나이지리아 대표팀 | |
2000년 12월 29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3-2 | 루마니아 대표팀 | |
2001년 12월 29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3-2 | 가나 대표팀 | |
2002년 12월 28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1-1 | 북마케도니아 대표팀 | |
2003년 12월 27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2-1 | 우루과이 대표팀 | |
2004년 12월 29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2-0 | 온두라스 대표팀 | |
2005년 12월 28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0-1 | 카메룬 대표팀 | |
2006년 5월 21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0-1 | 웨일스 대표팀 | |
2006년 10월 8일 | 바르셀로나, 캄프 누 | 바스크 선발 | 2-2 | 카탈루냐 선발 | |
2006년 12월 27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4-0 | 세르비아 대표팀 | |
2007년 6월 20일 | 산 크리스토발, P・푸에블로 누에보 | 베네수엘라 대표팀 | 3-4 | 바스크 선발 | |
2007년 12월 29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1-1 | 카탈루냐 선발 | |
2008년 12월 23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중지 | 이란 대표팀 | |
2010년 12월 29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3-1 | 베네수엘라 대표팀 | |
2011년 5월 25일 | 탈린, A. 레 코크 아레나 | 에스토니아 대표팀 | 1-2 | 바스크 선발 | |
2011년 12월 28일 | 빌바오, 산 마메스 | 바스크 선발 | 0-2 | 튀니지 대표팀 | 35,000 |
2012년 12월 29일 | 산 세바스티안, 아노에타 | 바스크 선발 | 6-1 | 볼리비아 대표팀 | 26,000 |
바스크 축구 연맹과 바스크 자치 정부는 바스크 대표팀의 FIFA 및 UEFA 가입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2018년 바스크 축구 연맹은 대표팀의 공식 인정을 위한 가입 신청에 찬성 투표를 했고,[85] 2020년에는 UEFA와 FIFA에 공식적으로 인정 신청을 했다.[85] 바스크 지역 내에서는 FIFA 및 UEFA 가입에 대한 지지 여론이 높다.[85]
바스크 대표팀은 FIFA나 UEFA에 정식으로 가입되어 있지 않지만, 비공식적으로 오랜 기간 활동해 왔다. 다음은 바스크 대표팀에서 활동했던 선수들 명단이다.
3. FIFA 및 UEFA 가입 노력
4. 선수
선수 포지션 비고 사비 알론소 MF 스페인 대표팀 경력 미켈 알론소 미켈 아르테타 델 오르노 이반 캄포 빅상트 리자라쥐 호세바 에체베리아 훌렌 게레로 아리츠 아두리스 FW 스페인 대표팀 경력 하비 마르티네스 이케르 무니아인 사비 프리에토
다음은 2012년 12월 29일 볼리비아와의 친선 경기에 소집된 선수 명단이다.[98]포지션 이름 생년월일 출장 득점 소속 클럽 비고 GK 골카 이라이소스 1981년 3월 6일 8 0 아틀레틱 빌바오 에냐우트 수비카라이 1984년 2월 26일 1 0 레알 소시에다드 DF 안도니 이라올라 1982년 6월 22일 7 0 아틀레틱 빌바오 스페인 대표팀 경력 미켈 곤살레스 1985년 9월 24일 4 0 레알 소시에다드 이ñigo 마르티네스 1991년 5월 17일 2 0 레알 소시에다드 U-21 스페인 대표 미켈 발렌시아가 1984년 2월 29일 1 0 레알 바야돌리드 전 U-21 스페인 대표 카를로스 마르티네스 1986년 4월 9일 2 0 레알 소시에다드 미켈 라바카 1992년 1월 3일 1 0 레알 바야돌리드 샤비에르 카스티요 1986년 3월 29일 0 0 아틀레틱 빌바오 전 U-19 스페인 대표 오이에르 산후르호 1986년 5월 25일 4 0 CA 오사수나 MF 사비 알론소 1981년 11월 25일 4 0 레알 마드리드 스페인 대표팀 경력 베냐 에체바리아 1987년 2월 19일 2 0 레알 베티스 스페인 대표팀 경력 사비 프리에토 1983년 8월 29일 8 0 레알 소시에다드 전 U-21 스페인 대표 미켈 리코 1984년 11월 4일 2 0 그라나다 CF 마르켈 수사에타 1987년 12월 14일 2 0 아틀레틱 빌바오 스페인 대표팀 경력 FW 가이스카 토케로 1984년 8월 9일 4 2 아틀레틱 빌바오 이바이 고메스 1989년 11월 11일 1 1 아틀레틱 빌바오 아리츠 아두리스 1981년 2월 11일 5 7 아틀레틱 빌바오 스페인 대표팀 경력 키케 소라 1985년 2월 25일 2 0 CA 오사수나 전 U-21 스페인 대표 이마놀 아기레체 1987년 2월 24일 3 1 레알 소시에다드 전 U-17 스페인 대표
바스크 대표팀은 영국이나 페로 제도처럼 독립적인 대표팀 구성을 위해 FIFA와 UEFA 가입을 추진하고 있다.[90][91][92][93][94][95] 2018년 말, 바스크 축구 연맹은 대표팀의 공식 인정을 위해 FIFA와 UEFA에 가입을 신청하는 데 찬성하는 투표를 했다.[97][78] 2020년 12월에는 UEFA와 FIFA에 인정을 신청했다.[98]
4. 1. 유명 선수
사비 알론소, 미켈 아르테타, 아리츠 아두리스, 이케르 무니아인, 호세바 에체베리아 등이 바스크 대표팀을 거쳐 간 유명 선수들이다.[91][95]
4. 2.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3월)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나이) | 출장 횟수 | 득점 | 소속 클럽 | |
---|---|---|---|---|---|---|---|
1 | GK | 아이토르 페르난데스 | Aitor Fernández Abarisketa|아이토르 페르난데스 아바리스케타es | 1991년 5월 3일(1991-05-03) (33세) | 2 | 0 | CA 오사수나 |
13 | GK | 훌렌 아기레사발라 | Julen Agirrezabala Astúlez|훌렌 아기레사발라 아스툴레스eu | 2000년 12월 26일(2000-12-26) (23세) | 1 | 0 | 아틀레틱 빌바오 |
2 | DF | 안도니 고로사벨 | Andoni Gorosabel Espinosa|안도니 고로사벨 에스피노사eu | 1996년 8월 4일(1996-08-04) (27세) | 1 | 0 |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
3 | DF | 마르틴 아기레가비리아 | Martín Agirregabiria Padilla|마르틴 아기레가비리아 파디야eu | 1996년 5월 10일(1996-05-10) (28세) | 2 | 0 | FC 파말리캉 |
4 | DF | 우르코 곤잘레스 데 사라테 | Urko González de Zárate Martínez|우르코 곤살레스 데 사라테 마르티네스eu | 2001년 3월 20일(2001-03-20) (23세) | 1 | 0 | 레알 소시에다드 |
5 | DF | 아리츠 엘루스톤도 | Aritz Elustondo Irribaria|아리츠 엘루스톤도 이리바리아eu | 1994년 3월 28일(1994-03-28) (30세) | 3 | 1 | 레알 소시에다드 |
12 | DF | 이마놀 가르시아 데 알베니즈 | Imanol García de Albéniz Crecente|이마놀 가르시아 데 알베니즈 크레센테eu | 2000년 6월 8일(2000-06-08) (24세) | 1 | 0 | 아틀레틱 빌바오 |
19 | DF | 욘 파체코 | Jon Pacheco Dozagarat|욘 파체코 도사가라트eu | 2001년 1월 9일(2001-01-09) (23세) | 1 | 0 | 레알 소시에다드 |
6 | MF | 미켈 베스가 | Mikel Vesga Arruti|미켈 베스가 아루티eu | 1993년 4월 8일(1993-04-08) (31세) | 2 | 0 | 아틀레틱 빌바오 |
14 | MF | 다니 가르시아 | Daniel García Carrillo|다니엘 가르시아 카리요es | 1990년 5월 24일(1990-05-24) (34세) | 5 | 0 | 올림피아코스 FC |
15 | MF | 욘 몬카욜라 | Jon Moncayola Tollar|욘 몬카욜라 토야르eu | 1998년 5월 13일(1998-05-13) (26세) | 1 | 0 | CA 오사수나 |
16 | MF | 욘 안데르 올라사스티 | Jon Ander Olasagasti|욘 안데르 올라사가스티eu | 2000년 8월 16일(2000-08-16) (23세) | 1 | 0 | 레알 소시에다드 |
17 | MF | 오이에르 사라가 | Oier Zarraga Egaña|오이에르 사라가 에가냐eu | 1999년 1월 4일(1999-01-04) (25세) | 1 | 0 | 우디네세 칼초 |
18 | MF | 안데르 게바라 | Ander Guevara Lajo|안데르 게바라 라호eu | 1997년 7월 7일(1997-07-07) (26세) | 2 | 0 |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
7 | FW | 알바로 디알로 | Álvaro Djaló|알바로 디알로eu | 1999년 8월 16일(1999-08-16) (24세) | 1 | 1 | SC 브라가 |
8 | FW | 이반 마르틴 | Iván Martín Núñez|이반 마르틴 누녜스es | 1999년 2월 14일(1999-02-14) (25세) | 1 | 0 | 지로나 FC |
9 | FW | 말콤 아두 아레스 | Malcolm Adu Ares|말콤 아두 아레스eu | 2001년 10월 12일(2001-10-12) (22세) | 1 | 0 | 아틀레틱 빌바오 |
10 | FW | 로베르토 토레스 | Roberto Torres Morales|로베르토 토레스 모랄레스es | 1989년 3월 7일(1989-03-07) (35세) | 5 | 1 | 소속 없음 |
11 | FW | 알렉스 솔라 | Álex Sola|알렉스 솔라es | 1999년 6월 9일(1999-06-09) (25세) | 1 | 0 | 데포르티보 알라베스 |
20 | FW | 아시에르 비야리브레 | Asier Villalibre Molina|아시에르 비야리브레 몰리나eu | 1997년 9월 30일(1997-09-30) (26세) | 3 | 0 | 아틀레틱 빌바오 |
- 감독: 자고바 아라사테
5. 감독
바스크 대표팀의 현재 감독은 자고바 아라사테이다.[87]
5. 1. 역대 감독
취임 년도 | 이름 |
---|---|
1930–1931 | 아마데오 가르시아 |
1937–1938 | 페드로 바야나 |
1978 | 콜도 아기레 |
1979 | 헤수스 가라이, 안도니 엘리손도 |
1980 | 호세 안토니오 이루레기 |
1988 | 호세 앙헬 이리바르, 사비에르 엑스포시토 |
1990 | 헤수스 아랑구렌 |
1993–2001 | 호세 앙헬 이리바르, 사비에르 엑스포시토 |
2002 | 호세 앙헬 이리바르 |
2003–2011 | 호세 앙헬 이리바르, 미켈 에차리 |
2011 | 하비에르 이루레타, 미켈 에차리 |
2011–2018 | 호세 마리아 아모로르투, 미켈 에차리 |
2019–2020 | 하비에르 클레멘테 |
2024– | 자고바 아라사테 |
6. 아마추어 팀 (UEFA 리전스컵)
바스크 아마추어 팀은 테르세라 디비시온 (4부 리그)과 지방 하위 리그 선수들로 구성되며, UEFA 리전스컵에 참가한다.[107] 선수 선발 기준은 구단(해당 지역 클럽에서 활동), 나이(18세에서 35세 사이), 아마추어 자격(프로 선수 계약 경험 없음)이다. 이 수준에서 바스크 팀은 바스크 자치 지방만을 대표하며, 나바라 지역은 다른 스페인 자치 지방과 마찬가지로 자체 팀을 운영한다.
바스크 아마추어 팀은 2년에 한 번 열리는 UEFA 리전스컵에 참가하며, 2003-04년에 스페인 예선 토너먼트에서 우승한 후 2005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108][109] 알랭 아로요는 폴란드에서 열린 2005년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기록했다. 바스크 팀은 2005-06년 스페인 스테이지 타이틀을 유지했지만(준결승 및 결승전 개최), 2007년 대회에서는 중간 그룹에서 탈락했다.[110]
'''경기 결과 (바스크 컨트리 기준):'''
URC 에디션 | 라운드 | 상대팀 | 점수 |
---|---|---|---|
2001 | 스페인 1라운드 (1999–00) | | style="background:#fbb" align="center"|0–1 | ||
style="background:#ffb" align="center"|0–0 |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2–1 | |||
2003 | 스페인 1라운드 (2001–02) |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3–0 |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4–1 | |||
스페인 8강전 | | style="background:#fbb" align="center"|1–2 |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a1–0 | |||
| style="background:#ffb" align="center"|0–0 (승부차기 3-4) | |||
| style="background:#ffb" align="center"|0–0 (승부차기 2-4) | |||
2005[111] | 스페인 1라운드 (2003–04) | 카스티야-라만차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1–0 |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3–1 | |||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4–1 | |||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3–1 | |||
유럽 중간 라운드 |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3–0 | |||
켐펜 | style="background:#ffb" align="center"|1–1 | |||
하이랜드 앤 아일랜드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5–0 | |||
유럽 최종 그룹 | KZESO Kakhova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4–1 | |||
Dacia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2–1 | |||
아일랜드 공화국 | style="background:#fbb" align="center"|1–3 | |||
[108]> 남서 소피아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1–0 | |||
2007[112] | 스페인 1라운드 (2005–06) |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2–0 | ||
style="background:#ffb" align="center"|1–1 | |||
| style="background:#ffb" align="center"|1–1 (승부차기 5-4) | |||
| style="background:#ffb" align="center"|1–1 (승부차기 3-0) | |||
유럽 중간 라운드[110] | FK Alytis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1–0 | |||
Ligue de Basse-Normandie de football|바스노르망디프랑스어 | style="background:#fbb" align="center"|1–2 | |||
아일랜드 공화국 | style="background:#ffb" align="center"|1–1 | |||
2009 | 스페인 1라운드 (2007–08)[113] | | style="background:#ffb" align="center"|0–0 | ||
카스티야-라만차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1–0 | |||
스페인 8강전 | | style="background:#ffb" align="center"|1–1 |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1–0 | |||
| style="background:#ffb" align="center"|2–2 (승부차기 2-4) | |||
2011 | 스페인 1라운드 (2009–10)[114] | | style="background:#ffb" align="center"|0–0 |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2–1 | |||
2013 | 스페인 1라운드 (2011–12)[115] | | style="background:#fbb" align="center"|0–1 | ||
style="background:#fbb" align="center"|0–4 | |||
2015 | 스페인 1라운드 (2013–14)[116] | | style="background:#ffb" align="center"|0–0 |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1–0 | |||
스페인 8강전 | | style="background:#fbb" align="center"|0–1 | |||
style="background:#ffb" align="center"|1–1 | |||
2017 | 스페인 1라운드 (2015–16)[117] | | style="background:#fbb" align="center"|1–3 | ||
style="background:#ffb" align="center"|2–2 | |||
2019 | 스페인 1라운드 (2017–18)[118] | | style="background:#fbb" align="center"|0–1 | ||
style="background:lightgreen" align="center"|4–0 | |||
2021 | 참조
[1]
서적
100 Años Seleccion Vasca De Futbol 1915-2015
|